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터법2

대한민국이 국제 단위계인 미터법을 쓰기전에 쓰던 단위계 (척관법, 척근법) 이전 포스팅에서는 미국은 왜 미터법을 안 쓰고 그들만의 야드파운드법을 쓰고 있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있었던 사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국제단위계와 대한민국에서 이전에 쓰던 단위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처음부터 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미국이 왜 [미터]를 안 쓰고 (인치 피트 야드 마일) 단위를 쓸까? 미국이 왜 [미터]를 안쓰고 (인치 피트 야드 마일) 단위를 쓸까? 대한민국에서 키랑 몸무게를 이야기할 때 몇 센티, 몇 킬로그램이라고 표현하지만 미국에서는 몇 피트, 몇 파운드라고 표현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쓰는 미터법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는 것인 jb-information.tistory.com 척관법 척근법 우리나라에서는 미터법을 쓰기 전에 과거부터 쓰이던 단위계.. 2023. 12. 26.
미국이 왜 [미터]를 안쓰고 (인치 피트 야드 마일) 단위를 쓸까? 대한민국에서 키랑 몸무게를 이야기할 때 몇 센티, 몇 킬로그램이라고 표현하지만 미국에서는 몇 피트, 몇 파운드라고 표현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쓰는 미터법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는 것인데 미국은 왜 다른 야드파운드법을 쓰고 있을까요? 그로 인해 생긴 사건과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화성 기후 궤도선 NASA가 발사한 화성 기후 궤도선(Mars Climate Orbiter)이 1999년 화성 궤도에 진입했으나 폭발하여 3728억 원을 날려먹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화성 기후 궤도선은 화성 천체를 공전하면서 탐사활동을 수행하는 우주선입니다. 화성의 물과 이산화탄소의 존재, 표면 관측, 기후 변화, 궤도환경을 연구하는 목적으로 1998년 12월 11일, 플로리다의 케이프 커내버럴에서 발사되었습니다. 잠시 지구 .. 2023.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