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에는 1일 의병의 날, 현충일, 6.10 민주항쟁 기념일, 6.25 전쟁일 6.29제 2 연평해전 등을 기념하기 위해 국가보훈처에서 지정한 호국보훈의 달입니다. 호국이란 나라를 보호하고 지킨다는 의미이고 보훈은 공훈에 보답한다는 의미로 대한민국을 지키는 과정에서 발생했던 역사적인 사건들에서 목숨을 잃거나 희생하신 분들을 잊지 말고 기억해야 될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6월 6일 현충일(顯忠日)을 맞이하여 태극기에 담긴 의미와 다는 방법과 현충일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현충일 유래
예부터 손이 없다는 청명과 한식에는 각각 사초(莎草)와 성묘(省墓)를 하고 6월 6일 망종(芒種)에는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전해져 왔습니다. 또한 고려 현종 5년 6월 6일에는 조정에서 장병(將兵)의 뼈를 집으로 봉송하여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농경사회에서는 보리가 익고 새롭게 모내기가 시작되는 망종을 가장 좋은 날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1956년 현충일 제정 당시 정부가 6월 6일을 현충일로 정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전사자를 포함해서 제사를 지낼 수 없는 귀신[無祀鬼神]을 모신 제사일에는 망종이 들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1953년 휴전 성립 후 안정을 되찾기 시작한 정부가 한국전쟁 당시 사망한 전사자를 추모하고 기념하려는 의도에서 1956년 4월 19일 대통령령 제1145호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여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고 기념행사를 거행하도록 하였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정부가 국민의 안보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현충기념일과 6월 25일 한국전쟁을 연계해서 6월을 호국보훈의 달로 정함으로써 순국선열과 전몰장병을 추모하고자 했다는 것입니다. 1970년 1월 9일 국립묘지령 제4510호로 연 1회 현충추념식을 거행하게 되었습니다. 현충기념일은 통상적으로 현충일로 불리다가 1975년 12월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공식적으로 현충일로 개칭되었으며 1982년 5월 15일 대통령령으로 공휴일로 정하기에 이르렀습니다.
태극기 다는 방법(조기게양)
어렸을 때는 삼일절이나 광복절에 태극기 단 집들을 쉽게 볼 수 있었는데 근래에는 보기 힘든 거 같습니다. 그리고 태극기를 달아도 온기와 반기를 구분 못하는 집들이 많은데 6월 6일 현충일은 일 년 중 단 한번 반기(조기)를 다는 슬픈 날입니다. 조기(弔旗)는 깃봉에서 깃면의 너비(세로길이) 만큼 내려 달아야 합니다. 가정에서의 태극기 다는 위치는 밖에서 바라보아 대문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경우 각 세대의 난간)의 중앙이나 왼쪽에 답니다. 그리고 가로기와 차량기는 국경일 등 경사스러운 날에 축제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달고 있으므로 현충일에는 달지 않습니다. 심한 비바람(악천후) 등으로 국기의 존엄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달지 않으며 일시적 악천후인 경우에는 날씨가 갠 후 달거나 내렸다가 다시 달아야 합니다.
이외에 태극기를 다는 날은 5대 국경일인 3.1절(3월 1일), 제헌절(7월 17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과 국군의 날(10월 1일) 같은 국가의 경사로운 날을 기념하는 기념일에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달아주시면 됩니다.
태극기에 담긴 의미
우리나라 국기(國旗)인 태극기(太極旗)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 문양과 네 모서리의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四卦)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가운데의 태극 문양은 음(陰 : 파랑)과 양(陽 : 빨강)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입니다. 네 모서리의 4 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효(爻 : 음 --, 양 ―)의 조합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그 가운데 건괘(乾卦)는 우주 만물 중에서 하늘을, 곤괘(坤卦)는 땅을, 감괘(坎卦)는 물을, 이괘(離卦)는 불을 상징합니다. 이들 4 괘는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이 생활 속에서 즐겨 사용하던 태극 문양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태극기는 우주와 더불어 끝없이 창조와 번영을 희구하는 한민족(韓民族)의 이상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태극기에 담긴 이러한 정신과 뜻을 이어받아 민족의 화합과 통일을 이룩하고 인류의 행복과 평화에 이바지해야 할 것입니다.
2023년 올해에는 현충일이 화요일이라 따로 대체공휴일은 없네요. 그래도 6월 6일 현충일에는 우리 모두 태극기(弔旗)를 게양하여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뜻을 기리고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되새기는 날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눌러주시면 좋은 기운 받으실 거예요.
정보 YouTube
-출처
픽사베이
팩셀스
위키피디아
행정안전부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스승의 날 유래 (나라별 스승의 날, 스승의 은혜 가사)
월별 데이 기념일 총정리 (매월 14일, 각종 데이의 유래)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자동차 타타 나노(인도,타타그룹,라탄 타타) (497) | 2023.06.12 |
---|---|
대한민국 해장법, 효과(해장국 유래, 숙취해소, 매운짬뽕, 양평해장국, 해장음식) (622) | 2023.06.07 |
세계 인구 1위 인도 출산율(중국 추월) 나라별 인구 순위와 국토면적 순위(세계 인구 80억 돌파) (522) | 2023.05.29 |
세계에서 폭이 가장 좁은 강과 넓은 강 <나라별 대표 강의 너비(강폭) 비교> (487) | 2023.05.21 |
조선시대 호랑이(호환, 한반도 표범, 조선왕조실록) (459) | 2023.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