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대한민국 해장법, 효과(해장국 유래, 숙취해소, 매운짬뽕, 양평해장국, 해장음식)

by 정보information 2023. 6. 7.
반응형

해장국

해장국은 전날의 술기운으로 거북한 속을 풀기 위하여 먹는 국종류를 말합니다. 매콤한 소스나 개운한 육수를 베이스로 해장에 도움이 되는 재료들까지 더하여 맛도 좋고 양도 많아 한끼 식사로도 적당하여 술을 전혀 안 하는 사람들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번에는 한국사람들이 선호하는 해장 방법들과 해장국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숙취 원인


해장국의 유래

풀 해(解) + 배알 장(腸) + 국
=속풀이국

 

해장국 유래

기원은 정확하지는 않지만 가장 오래된 것은 고려시대의 성주탕(醒酒湯)으로 기록된 것이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후 조선시대에는 해장국이라는 말을 쓰기 시작하면서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고 나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숙취해소에 좋은 것은 현대에서도 많이 쓰이는 콩나물을 넣은 해장국이었습니다. 실제로 궁중처방에도 주상(酒傷)에는 대두황권(大豆黃卷)이 특효라고 나와있는데 주상이 숙취이고 대두황권은 어린 콩나물을 말합니다. 그 외에도 배추, 콩나물, 버섯, 해산물 등 18가지 재료와 된장을 섞어 푹 고아낸 '효종갱'은 맛도 좋고 보양도 되는 해장국으로 인기가 좋았습니다.

 

그리고 지방 함량이 적어 맛이 산뜻하며 간에 좋은 메티오닌 성분이 많은 북엇국이 해장국으로 등장한 것은 1960년대 후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60~1970년대에는 주로 마른 북어를 참기름에 볶아 소금으로 간을 하고 먹으면서 해장하는 모습이 흔했습니다. 1975년부터 유명해진 양평해장국은 양평군 신내마을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50여 년 전 북한강에서 뗏목을 타고 다니며 다리 공사 일꾼들에게 국밥을 팔던 할머니가 있었습니다. 할머니는 양평 소시장에서 소의 내장과 뼈 등을 사서 고아 국밥을 만들어 팔았는데 맛과 해장효과가 좋다고 유명해졌습니다.

 

이와 같이, 고려시대부터 시작해서 조선시대를 거쳐 개화기와 현대에 이르는 동안  계층에 관계없이 술을 좋아하는 한국인들은 전 세계에서 유례없는 해장문화를 만들어냈습니다.


해장법

 

한국인의 해장 방법들

 

해장국 - 따뜻한 국물이면 숙취도 내려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해장 음식이라고 생각합니다. 뼈 해장국부터 콩나물 해장국, 선지 해장국, 순대 국밥, 돼지 국밥 등 정말 많은 종류의 해장국들이 있습니다. 콩나물 해장국에는 미네랄이 많이 함유된 콩나물과 북어가 많이 들어 있어서 간의 대사를 도와줍니다. 그리고 국밥류는 아세트알데하이드 배출에 가장 필요한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탄수화물이 풍부해 숙취 지속의 원인인 저혈당 상태를 빠르게 완화시켜 줍니다. 게다가 콩나물에 들어 있는 아스파라긴산은 간의 해독 기능을 돕고 황태에는 메티오닌과 간을 보호하는 리신 등의 성분이 풍부합니다.

 

기름파 - 난 치즈가 가득하거나 기름진 게 해장되더라
요즘에는 햄버거나 피자, 돈까스 같은 치즈가 많거나 기름진 음식들이 해장이 잘 된다고 하는 사람들이 은근히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전혀 근거 없는 행동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햄버거나 피자에는 숙취 해소에 좋은 토마토가 들어 있습니다. 토마토의 풍부한 리코펜은 알코올 대사 과정을 원활하게 만들어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배출을 도와줍니다. 그리고 치즈에는 메티오닌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 알코올에 의해 발생한 유해산소를 제거해 간을 보호하는 글루타치온의 원료가 됩니다.

 

얼큰파 - 역시 매운 음식이 해장에 최고지
술 먹은 다음날 숙취로 나가거나 해 먹기 귀찮을 때는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은 아마도 중국집일 듯합니다. 그중에서도 먹다 보면 땀이 송골송골 맺히는 얼큰한 국물이 일품인 매운 짬뽕이 인기가 좋습니다. 그 외에도 매운 라면, 매운 카레, 매운 냉면, 매운 떡볶이 등 매콤한 음식으로 해장하는 분들 많습니다. 물론 매운 것을 못 드시는 맵찔이분들은 기피하는 해장 방법입니다.

 

해장술파 - 술은 역시 술로 해장해야지
'해장술 하게 나와' 일반적이진 않지만 남다른 그분들의 영역인 거 같습니다. 하지만 해장술은 우리나라만의 문화는 아닙니다. 해외에 'Hair of the dog'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먼 옛날, 개에 물리면 그 개의 털을 상처에다 대면 낫는다는 속설에서 유래했습니다. 술 마신 다음 날 숙취가 심할 때 술을 마시면 숙취가 낫는다는 말로 아침 술이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전 세계의 술꾼들이 많이 쓰는 해장 방법이지만 알코올 중독으로 가는 지름길일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세계 각국의 해장음식


이번에는 해장국의 유래와 다양한 해장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들께서는 어떤 해장법을 선호하시나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눌러주시면 좋은 기운 받으실 거예요.

정보 YouTube

1분 영상

-출처
픽사베이
팩셀스
위키피디아
나무위키

 

세계 각국의 해장 음식(나라별 해장 요리, 이색 음식, 숙취 해소)

 

세계 각국의 해장 음식(나라별 해장 요리, 이색 음식, 숙취 해소)

잦은 술자리 때문에 과음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다음날 해장으로 어떤 음식을 먹을지 고민해 보셨을 겁니다. 얼큰한 국물이나 느끼한 음식 등등 사람마다 또 문화에 따라 선

jb-information.tistory.com

숙취의 원인과 증상 (숙취 해소제의 효과)

 

숙취의 원인과 증상 (숙취 해소제의 효과)

코로나 이후 최근에는 제재 완화로 회식이나 각종 모임으로 술자리가 많아졌고 이에 따라 다음날 숙취로 고생하시는 분들도 늘었습니다. 숙취는 살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번 이상 경험해 보

jb-information.tistory.com

전 세계에서 한국만 먹는 음식들

 

전세계에서 한국만 먹는 음식들

나라별로 문화의 차이가 있다 보니 나라마다 먹는 음식은 다양하고 입맛이 다릅니다. 외국인이 한국에 와서 깜짝 놀라는 음식들이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한국만 먹는 음식들에 대해 알아보겠

jb-information.tistory.com

카페인(caffeine) 어원과 공급원 그리고 효능

 

카페인(caffeine) 어원과 공급원 그리고 효능

카페인은 늦은 밤 졸음 방지를 위해 또는 매일 아침 일어나서 머리를 깨우기 위해 먹거나 마시는 음료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커피, 차, 콜라 등 다양한 음료에서 찾을 수 있으며 많은 사람

jb-informatio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