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孔子)께선 네 가지 일을 전혀 하지 않았는데 그 네 가지가 ‘무의, 무필, 무고, 무아’입니다. 이것은 마음대로 결정하지 않고, 함부로 단언하지 않았으며, 자기 고집만 부리지 않았고, 따라서 아집을 부리는 일이 없었다는 뜻입니다. 이 모두를 하나의 속성으로 묶을 수 있는데 그게 바로 겸손(謙遜)입니다. 이번에는 논어(論語) 자한(子罕)편 4장 자절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절사(子絶四)
첫 번째, 무의(毋意) : 함부로 억측하지 마라.
무의(毋意)는 "사사로운 뜻이 없다"는 의미로 공명정대함이다.
인간은 사람을 만나면 자신의 잣대로 판단하려는 속성이 있다. 그래서 한 번 박힌 선입견을 불식시키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사람을 외모로 판단하다 보면 자칫 자의적으로 흐르기 쉽다. 자의성은 대화 부족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의사결정을 할 때도 충분한 토론을 통해 결론을 내리면 자의성은 줄어들게 된다. 자의적으로 판단하는 사람은 자신이 얼마나 어리석은 사람인가를 깨달아야 한다.
상식과 편견은 종이 한 장 차이다. 모든 일을 조사하며 진행할 순 없지만, 그렇다고 본인 직감에만 의존하는 건 위험하다. 어떤 것을 예단하기 전에 그것이 진실과 다름이 없는지 살피고 지나치게 편견에 의존한 판단은 아닌지 늘 경계해야 한다. 애매한 건 귀찮더라도 여러 번 조사하고 신중히 판단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두 번째, 무필(毋必) : 자신만 옳다고 믿지 마라.
무필(毋必)은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없다"는 의미로 "기필코 해야 하겠다"는 생각으로 순리에 벗어난 일을 하지 않는다는 의지다.
반드시 이렇게 해야 한다는 식으로 융통성 없게 행동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우리가 일상적인 삶 속에서도 "하늘이 두 쪽나도" "하늘에 맹세코"와 같은 표현은 사실 듣는 사람들에게 때로는 큰 부담으로 다가오는 경우가 있다. 상대방 입장에서 생각하고 입장을 바꿔서 헤아려보면 기필코란 말은 수정이 불가피할 경우가 생겨난다.
옳고 그름에 너무 집착하지 마라. 세상에 무조건 이것이 진리인 건 없다. 설령 맞더라도 조건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기 믿음도 중요하지만, 그걸 만고불변의 진리처럼 믿고 내세우면 주위에 적이 많아진다. 특별히 대단한 사안이 아니라면 주변 사람과 의견 충돌은 ‘다름’으로 풀어나가야지 ‘옳고 그름’으로 풀어선 안 된다. 유연한 태도로 대처하는 게 좋다.
세 번째, 무고(毋固) : 끝까지 고집부리지 마라.
무고(毋固)는 "고집을 버린다"는 의미로 신념이나 원칙에 집착하지 않고 유연하게 상황에 대처하고자 하는 태도다.
사람이란 나이가 들면 노욕이 생겨 고집이 더 세지는 경향이 있다. 주위에서 많은 사람들이 노인의 고집과 맞서기를 꺼리는 이유이다.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고집을 줄이고 다른 사람들의 말에 귀 기울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자기 주관을 관철해야 하는 때도 분명 있다. 그럴 때는 책임감을 바탕으로 밀어붙이는 추진력이 필요하지만
대부분 그렇게까지 할 일은 별로 없다. 사소한 거 하나하나 자기 뜻대로 해야 하는 사람은 정작 중요한 일을 놓치기 쉽다. 적당히 넘길 줄도 알아야 하고 필요한 것만 취할 줄 아는 요령이 중요하다.
네 번째, 무아(毋我) : 자신을 내세우지 마라.
무아(毋我)는 "아집이 없다"라는 의미로 모든 일들을 자신의 물적 정신적 이익을 위해서 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는 흔히 "내가 아니면 안 된다"는 생각을 하기가 쉽다. 공자는 자기의 주장이 강했으나 반드시 자신만이 옳다고 여기지 않았다. 공자가 14년 동안 천하를 돌아다니면서 관직에 발탁되지는 않았지만 영원한 스승의 길로 가게 된 배경도 성숙한 인품이 뒷받침되었기에 가능했다.
"모난 돌이 정 맞는다"라는 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 사회는 전면에 나서는 사람들에게 그렇게 관대하지 않다.
그 사람이 잘나서 나선 거면 잘난 척한다고 욕하고 그냥 나서면 나댄다고 비하한다. 적극적인 사람을 자신감보단 자만감으로 느끼는 사람이 많으니 나설 땐 늘 조심해야 한다. 가식적이란 평가를 들어도 좋으니 항상 겸손한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겸손(謙遜)
겸손 - 남을 존중하고 자기를 내세우지 않는 태도
자절사(子絶四)로 홀로 살아갈 수 없는 우리에게 타인이 존재한다면 그 사람에게 나만이 옳으며 자신이 가진 가치관을 강요하는 행위들은 선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것이며 그것을 버리고 함께 살아간다면 본질을 되찾게 될 것입니다. 나를 버리는 것은 힘들고 고통이 수반되는 작업이지만, 나를 버릴 수 있다면 역설적으로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공자가 근절했던 네 가지는 오늘날 사회에서 더욱 요구되는 덕목이기에 공자의 가르침에 귀 기울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눌러주시면 좋은 기운 받으실 거예요.
정보 YouTube
-출처
픽사베이
팩셀스
매력적이고 호감 가는 말투 (말 예쁘게 하는 사람들의 대화 스킬 4가지)
'[동기부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력적이고 호감가는 말투 (말 예쁘게 하는 사람들의 대화 스킬 4가지) (895) | 2024.07.22 |
---|---|
효(孝)에 대한 명언 (부모 아이 좋은글귀) (1681) | 2024.05.08 |
쇼펜하우어 인생명언 50가지 (행복론, 인생론) (953) | 2024.04.08 |
[쇼펜하우어] 혼자 되는 법을 배워라 (행복론, 인생론, 인생 명언) (1161) | 2024.02.19 |
연말연시 인사말 좋은글 (좋은 글귀, 명언, 삶의 지혜) (1126) | 2024.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