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4년 갑진년 유용한 정보들 (만나이, 공휴일, 최저시급, 생계급여, 분리수거, 부모급여, 출산지원금, 육아휴직)

by 정보information 2024. 1. 29.
반응형

2024 꿀정보

 

2024년 갑진년 푸른 용의 해를 맞이하면서 정책들도 많이 변경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바뀌고 추가되는 사항들이 많습니다. 몰라서 손해 보시는 분들이 없도록 새해에 알고 있으면 좋은 정보들을 모아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4년 알고 있으면 좋은 정보들

 

2024 대박띠 삼재띠

 

2024년 대박띠

 

  • 호랑이띠 (22년생, 10년생, 98년생, 86년생, 74년생, 62년생, 50년생...)
  • 닭띠 (17년생, 05년생, 93년생, 81년생, 69년생, 57년생, 45년생...)
  • 돼지띠 (19년생, 07년생, 95년생, 83년생, 71년생, 59년생, 47년생...)

 

2024년 대박띠

 

  • 쥐띠 (20년생, 08년생, 96년생, 84년생, 72년생, 60년생, 48년생...)
  • 용띠 (24년생, 12년생, 00년생, 88년생, 76년생, 64년생, 52년생...)
  • 원숭이띠 (16년생, 04년생, 92년생, 80년생, 68년생, 56년생, 44년생...)

 

 

2024년 공휴일

 

  • 1월 [신정] : 1/1(월)
  • 2월 [설 연휴] : 2/9(금) ~ 2/12(월) [대체공휴일] 2/12(월)
  • 3월 [삼일절] : 3/1(금)
  • 4월 [22대 국회의원 선거] : 4/10(수)
  • 5월 [어린이날] 5/5(일) -> [대체공휴일] 5/6(월), [부처님 오신 날] 5/15(수)
  • 6월 [현충일] 6/6(목)
  • 7월 [없음]
  • 8월 [광복절] 8/15(목)
  • 9월 [추석 연휴] 9/16(월) ~ 9/18(수)
  • 10월 [개천절] 10/3(목), [한글날] 10/9(수)
  • 11월 [없음]
  • 12월 [성탄절] 12/25(수)

 

2024년 연차 쓰기 좋은 연휴

 

  • 2월 [13일] 설 연휴(금~월)+연차=총 5일
  • 3월 [4일] 삼일절(금)+주말+연차=총 4일
  • 4월 [8일~9일] 주말+연차+22대 국회의원 선거(수)=총 5일
  • 5월 [7일] 주말+어린이날 대체공휴일(월)+연차=총 4일
  • 5월 [2일~3일] 근로자의 날(수)+연차+주말+대체공휴일=총 6일 (근로자의 날 쉬는 직장)
  • 5월 [13일~14일] 주말+연차+부처님 오신 날(수)=총 5일
  • 6월 [7일] 현충일(목)+연차+주말=총 4일
  • 8월 [16일] 광복절(목)+연차+주말=총 4일
  • 9월 [19일~20일] 추석연휴(토~수)+연차+주말=총 9일
  • 10월 [4일] 개천절(목)+연차+주말=총 4일
  • 10월 [7일~8일] 주말+연차+한글날(수)=총 5일
  • 12월 [23일~24일] 주말+연차+성탄절(수)=총 5일

 

2024년 만나이

 

작년 2023년 6월 28일부로 만나이가 시행되었지만 아직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출생연도별로 쉽게 확인하실 수 있게 2024년에 맞춰 정리했으니 확인해 보세요.

 

2024 만나이

 


2024년 바뀌는 제도

 

최저시급

 

2023년 9,620원 -> 2024년 9,860원

 

2023년 최저시급 9,620원에서 2.5% 인상되어 2024년 최저시급이 9,860원이 되었습니다.

하루 8시간 기준 일급 78,880원이고 주 5일 40시간으로 월 환산액은 2,060,740원이 되겠습니다.

 

 

최저시급 생계급여

 

 

생계급여

 

생계급여 2023년 2024년
1인 623,368원 713,102원
2인 1,036,846원 1,178,435원
3인 1,330,445원 1,508,690원
4인 1,620,289원 1,833,572원
5인 1,899,206원 2,142,635원
6인 2,168,394원 2,437,878원

 

 

2024년 생계급여는 1인 가구 기준으로 2023년보다 14.4% 인상했고, 4인 가구는 13.16%가 인상했습니다.
생계급여 수급 선정 기준 또한 기존보다 2% 완화되어 약 3,800 가구가 더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4년 분리수거

 

⊙페트병(PET) 분리배출

기존에 플라스틱으로만 분류되어 있던 것에 변경사항이 있습니다. 생수나 음료수, 간장이나 식초등 먹을 수 있는 것이 담겨 있던 페트병은 앞으로 투명페트병으로 따로 분리배출하셔야 됩니다. 락스나 샴푸, 주방세제나 손세정제 등 먹을 수 없는 화학제품이 담겨 있던 용기는 원래대로 플라스틱으로 배출하시면 됩니다.

 

 

⊙비닐 분리배출

포장할 때나 배달음식에서 나오는 랩은 비닐이 아닌 일반쓰레기로 분리배출하셔야 됩니다. 위생팩이나 위생장갑 등도 비닐류로 배출이 가능하지만 오염된 비닐은 일반 쓰레기로 버리셔야 됩니다. 안전포장으로 오는 뽁뽁이나 양파망은 비닐류로 배출하세요. 라면이나 과자 봉지는 비닐류로 배출하시는데 부피를 줄이기 위해 딱지 모양으로 접어서 버리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올해부터는 딱지 모양으로 배출하시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장류 분리배출

고추장, 된장, 쌈장 등 사람이 먹는 것들이라 생각하고 당연히 음식물 쓰레기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분해하여 퇴비나 가축의 사료 등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동물의 섭취 가능 여부로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장류는 염도가 높아 가축의 사료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양념이 되어 있는 음식물을 버릴 때에도 최대한 물에 헹궈서 버려야 합니다. 또한 매운 고춧가루나 고추씨도 사료로 쓰기에 적합하지 않아 일반 쓰레기로 버리셔야 합니다.

 

 

⊙과일 껍질 분리배출

수박, 바나나, 귤, 사과, 복숭아 등 대부분의 과일 껍질은 대부분 음식물 쓰레기에 해당되며 일반 쓰레기로 버리면 과태료 대상이 됩니다. 수박이나 멜론같이 껍질이 두꺼운 과일의 경우에는 칼로 잘게 잘라 배출하세요. 잣이나 밤, 호두 등은 단단한 껍질을 가진 과일로 일반 쓰레기에 해당합니다.

 

 

⊙스티로폼 분리배출

과일망이나 육류 포장에 쓰이는 작은 스티로폼은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셔야 합니다. 흰색 스티로품 상자만 테이프나 스티커 등 제거하여 스티로폼류로 분리배출하세요. 유색 스티로폼은 지자체 분리 기준에 따라 버리시면 됩니다.

 


출산장려정책

출산장려정책

 

 

부모급여

 

  2023년 2024년
0세 700,000원 1,000,000원
1세 350,000원 500,000원

 

 

우선 부모급여는 0세 기준, 2023년 70만 원에서 2024년 100만 원으로 올랐고 1세 기준, 35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올랐습니다. 혹시 바우처 지원을 받고 계셔도 부모급여 금액이 더 큰 경우에는 차액만큼 현금으로 지급된다고 하니 잊지 마세요.

 

 

다자녀 출산 지원금

 

  2023년 2024년
첫째 2,000,000원 2,000,000원
둘째 x 3,000,000원

 

 

첫 만남이용권은 200만 원을 지급하여 생애 초기 아동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지원 사업입니다.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이 사업이 확대되어 2024년 1월 1일 이후 태어나는 둘째 이상 아동에게 다자녀 출산 지원금 300만 원이 지급됩니다. 출생일로부터 1년간 사용가능하며 이후 바우처가 자동 소멸되니 기간 내에 모두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육아휴직 급여

 

  2023년 2024년
육아휴직 기간 연장 최대 12개월 최대 18개월
맞돌봄 특례지원 확대 3개월/최대 300만원 6개월/최대 450만원

 

 

육아휴직 급여는 남녀 맞돌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사업으로 육아휴직 가능한 기간이 생후 12개월에서 18개월로 연장되었습니다. 그리고 부모 한 명당 최대 3개월씩만 육아휴직을 쓸 수 있던 것이 한 명당 최대 6개월까지 쓸 수 있으며 급여 상한액이 월 최대 300만 원에서 월 최대 450만 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2023년 2024년
출산휴가 5일 10일

 

 

배우자 출산휴가(유급)도 기존 5일에서 2024년에는 10일로 확대되어 지원합니다. 휴일을 제외한 평일 기준 10일이라는 점 잊지 마세요.

 


이번에는 새해에 알고 있으면 유용한 정보들과 2024년 바뀌는 제도 그리고 출산장려정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눌러주시면 좋은 기운 받으실 거예요.

 


정보 YouTube

편하게 영상으로 들으세요

 

-출처
픽사베이
팩셀스
위키피디아
나무위키

 

미국이 왜 [미터]를 안 쓰고 (인치 피트 야드 마일) 단위를 쓸까?

 

미국이 왜 [미터]를 안쓰고 (인치 피트 야드 마일) 단위를 쓸까?

대한민국에서 키랑 몸무게를 이야기할 때 몇 센티, 몇 킬로그램이라고 표현하지만 미국에서는 몇 피트, 몇 파운드라고 표현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쓰는 미터법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는 것인

jb-information.tistory.com

[독감] 인플루엔자 예방접종(기간, 접종비용, 무료접종 대상, 신청방법)

 

[독감] 인플루엔자 예방접종(기간, 접종비용, 무료접종 대상, 신청방법)

지난달, 수도권에 이례적인 9월 열대야가 88년 만에 찾아왔었습니다. 늦게까지 이어진 늦더위를 유지하다가 10월에 들어서며 환절기 일교차로 인해 주변에 감기 걸리신 분들이 많이 보이네요. 이

jb-information.tistory.com

대한민국 매운 라면 순위 1위~50위 (몇 위까지 가능? 맵부심, 스코빌 지수)

 

대한민국 매운라면 순위 1위~50위 (몇위까지 가능? 맵부심, 스코빌 지수)

매운맛에 진심인 대한민국은 라면도 매운맛이 열풍입니다. 농심, 삼양, 팔도 등 라면 업계에서는 기존 순위를 갱신하는 높은 스코빌의 라면들을 끊임없이 출시하고 있습니다. 스코빌(Scoville Heat

jb-information.tistory.com

흰머리 새치 차이점 원인 (사람마다 머리카락 색이 다른 이유)

 

흰머리 새치 차이점 원인 (사람마다 머리카락 색이 다른 이유)

왜 사람마다 머리카락 색이 다를까요? 그리고 노화에 의해서 생기는 흰머리가 아닌 어린 나이에 생기는 새치의 원인, 그리고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하신 분들을 계실 겁니다. 사실 이것들은 모

jb-informatio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