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정보]56

대한민국 매운라면 순위 1위~50위 (몇위까지 가능? 맵부심, 스코빌 지수) 매운맛에 진심인 대한민국은 라면도 매운맛이 열풍입니다. 농심, 삼양, 팔도 등 라면 업계에서는 기존 순위를 갱신하는 높은 스코빌의 라면들을 끊임없이 출시하고 있습니다. 스코빌(Scoville Heat Unit, SHU)은 캡사이신의 농도를 계량화하여 맵기를 표현하는 단위로 우리나라 청양고추의 스코빌은 4,000~12,000 SHU 정도입니다. 이번에는 우리나라의 매운 라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매운 라면 경쟁 라면의 매운맛이라고 하면 대표적인 것이 신라면이었습니다. 2012년에 삼양에서 내놓은 불닭볶음면의 엄청난 인기를 시작으로 대한민국의 매운맛 라면 경쟁이 시작되었습니다. 1986년에 출시하여 지금까지도 기준으로 삼고 있을 정도인 신라면은 3,400 SHU인데 불닭볶음면은 4,404 SHU로 더 맵.. 2023. 9. 7.
스코빌 척도(지수, 세계에서 가장 매운 식품들, 스코빌 랭킹) 우리나라 사람들은 탕이나 반찬에 고추나 고추가루가 들어간 음식을 거의 매일 먹고 있습니다. 이런 음식들은 고추의 캡사이신 때문에 얼큰한 맛을 느낄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이런 매운맛으로 경쟁하며 점점 매운 식품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세계에서 가장 매운 식품들과 매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스코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코빌 척도(SHU) 스코빌 척도(Scoville scale)는 고추에 포함된 캡사이신(capsaicin)의 농도를 스코빌 매움 단위로 계량화하여 표시한 것으로 1912년, 미국의 약사이자 화학자인 윌버 스코빌(Wilbur Scoville, 1865~1942)이 최초로 개발하였습니다. 스코빌이라는 것도 척도를 창시한 윌버 스코빌의 이름에서 따온 겁니다. 스코빌 척도가 처음 만들어진 시.. 2023. 9. 1.
[미각]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지방맛 (혀 맛지도) 혀(tongue)가 느낄 수 있는 맛을 미각이라고 하며 단맛, 쓴맛, 신맛, 짠맛 등을 느낄 수 있는데 대부분 혀 전체에서 고르게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다른 잘못된 정보를 알렸던 혀의 맛지도 이야기와 미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각(gustatory system) 미각(味覺)은 인간이 가진 오감(五感) 중 하나로 입 안의 혀에 위치한 감각으로 물질의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인간은 혀의 표면에 위치한 미뢰(taste bud)라는 감각 기관을 통해 미각을 느낄 수 있고 입 안에는 약 1만 개의 미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미뢰를 이루는 세포들은 그 역할에 따라서 미각을 직접적으로 수용하는 미각세포(taste cell))와 하단부에서 지지 및 세포 보충의 역할을 하는 기저세포(basal .. 2023. 8. 25.
에어컨 작동 원리 발명(창시자) 윌리스 하빌랜드 캐리어 계속되는 폭염으로 가정집이나 가게, 회사 등 실내에서 에어컨을 가동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제는 정말 에어컨이 없는 여름은 상상도 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번에는 생활 필수템이 되어버린 에어컨의 창시자와 어떻게 시원한 바람을 만들어 주는지 그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에어컨 (air conditioner) 우리가 흔히 부르는 에어컨을 영어로 그대로 쓰면 aircon인데 이것은 잘못된 표현이고 정확히는 air conditioner라고 써야 합니다. 줄여서 AC라고도 부르며 실내 공기의 온도, 습도를 조절해 주는 기계입니다. 고대 로마인들은 수로의 물을 벽으로 통과시켜 더운 날씨에 건물의 온도를 낮추거나 찬 물이 순환되도록 벽 뒤에 수도관을 설치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동남아권에서는 내부.. 2023. 8. 21.
흰머리 새치 차이점 원인 (사람마다 머리카락 색이 다른 이유) 왜 사람마다 머리카락 색이 다를까요? 그리고 노화에 의해서 생기는 흰머리가 아닌 어린 나이에 생기는 새치의 원인, 그리고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하신 분들을 계실 겁니다. 사실 이것들은 모두 멜라닌의 영향 때문에 다른 겁니다. 그럼 이번에는 멜라닌의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새치 흰머리 차이점과 원인 흰머리 새치 차이점 흰머리는 나이가 들면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는 정상적인 노화 현상입니다. 머리카락 색은 모낭 속 멜라닌 세포가 결정하는데 세포가 멜라닌 색소를 합성하고 색소의 양이 많을수록 머리색이 짙어집니다. 그래서 나이가 들수록 멜라닌을 합성하는 멜라닌 세포의 수가 줄고 그 기능도 떨어지면서 흰머리가 생기는 겁니다. 흰머리는 보통 옆머리, 윗머리, 뒷머리 순으로 진행되고 그 외에도 턱수염, 콧수염, 눈썹 .. 2023. 8. 17.
8월 15일 광복절 공휴일 (관련 해외 기념일, 대체공휴일, 광복절 노래 가사, 악보) 광복절은 일본으로부터 해방되어 국권을 회복하고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한 과정을 아울러 광복으로 명명하여 기념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제2차 세계 대전과 관련되어 있어 다른 나라에서도 의미 있는 날입니다. 이번에는 그와 관련된 이야기와 더불어 광복절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광복절 공휴일 국경일 광복절 공휴일 광복절(光復節, National Liberation Day)은 영예롭게 회복한 날이란 뜻으로 1945년 8월 15일 수요일에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8.15 광복을 맞아 한반도가 일제에게서 해방되어 주권을 되찾은 일을 기념하는 해방 및 정부수립 기념일입니다.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국경일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의 법정 공휴일입니다. 대체 휴일 제도가 2021년 .. 2023. 8. 12.
세계 각국의 해장 음식(나라별 해장 요리, 이색 음식, 숙취 해소) 잦은 술자리 때문에 과음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다음날 해장으로 어떤 음식을 먹을지 고민해 보셨을 겁니다. 얼큰한 국물이나 느끼한 음식 등등 사람마다 또 문화에 따라 선호하는 해장음식들이 다양합니다. 술을 마시고 다음날 숙취해소를 위해 먹는 음식을 나라별로 알려드리겠습니다. 해장(解酲) - 전날의 술기운을 풂 아시아(Asia) 한국(Korea) 한국에서는 선지와 각종 야채를 넣고 된장으로 간을 해서 끓인 선짓국부터 내장이 가득한 해장국, 순댓국과 같은 얼큰한 국밥 종류의 해장 음식이 많습니다. 그 밖에도 콩나물, 황태 등을 넣어 시원한 국물 요리를 선호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콩나물국밥은 내셔널지오그래픽이 선정한 세계의 대표적인 숙취 해소 음식으로 소개된 적도 있을 정도로 유명합니다. 콩.. 2023. 8. 8.
24절기(이십사절기, 二十四節氣) 가을의 시작 입추(立秋)가 지나도 더운 이유 예전에는 집집마다 벽에 달력이 걸려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달력에는 절기들이 적혀 있었고 입춘, 입하 이런 것이 적힌 걸 보고 계절이 바뀌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물론 요즘에는 벽에 달력 대신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달력을 이용하고 거기에도 절기들은 모두 표시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절기와 곧 있으면 다가올 입추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4 절기(二十四節氣)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절기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양년(太陽年)을 태양의 황경(黃經)에 따라 24 등분하여 계절을 자세히 나눈 것입니다.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점을 기점으로 황도를 움직인 각도로 황경이 0°일 때를 춘분으로 하여 표와 같이 15°간격으로 24 절기를 구분합니다. 절기와 절기 사이는 대략 15일 간격이며 양력 날.. 2023. 8. 3.
반응형